240926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북토크: 우울증과 함께 살기 혹은
우울증과 함께 살기 혹은
저는 스스로를 10년 차가 되어가는 모범적인 우울증 환자라고 소개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모범적인”이라는 부분입니다. 저는 병원에 지각이나 결석을 할지언정 어쨌든 약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나가고, 약도 7일 아침 저녁 해서 14칸이 나눠져있는 약통에 매주마다 잘 소분하여 꾸준히 먹습니다. 상담을 시작한지도 벌써 2년이 넘어가고, 최근에는 글쎼, 정신병을 치료하기 위해 한약까지 먹게 되었습니다. (한의원에도 분과가 있고, 한방신경정신과가 있더라고요)
미나가 “미괴오똑”을 쓰던 당시 저는 제 정신병을, 아니 정신병까지는 아니더라도 이를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을 꽤 좋아하던 상태였습니다. “내 우울증 너무 좋고 멋져! 간지나!” 이런 느낌은 아니었고요. 다만 옛날 긴 항해를 하던 선원들이 다들 괴혈병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자주 떠올리곤 했습니다. 그건 어떤 바다의 저주같은 것에 의해 걸린 병이 아니라 단순히 비타민 C 부족에 의한 증상이었지요.
그 시대 선원들이 배를 타면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먹을 수 없으니 당연하게 괴혈병에 걸리듯이, 나도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한녀로서 미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걸 치료해주는 정신과 약은 그저 비타민제 같은 것이라고 여겼어요. 잇몸에서 피를 줄줄 흘리지 않게 해줄 수 있는 작은 약. 매일매일, 심지어는 죽을 때까지 먹어도 괜찮지 않나 싶었습니다.
요즘은 조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간단하게는 시간이 더 지나서 병원에 가고 약을 먹는 일에 약간 더 지치기도 했습니다만. 치료나 치유같은 개념에 대해 다시 고려해볼 수 있는 기회들이 있었습니다. 무언가 ‘과학적으로’ ‘잘못된 것’을 ‘바꿔야’ 한다는 개념이 얼마나 해로울 수 있으며 또 자주 틀리는지는 미나에게 자주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근 1-2년간 페미니즘 철학, 몸 철학, 신유물론을 익히거나, 일라이 클레어의 글과 같이, 치료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이야기들을 더 많이 접할 수 있었어요.
정신병 산업 체계에서 저는 모범적인 환자일 뿐 아니라 훌륭한 소비자이기도 하겠지요. 이 병을 털어내려고 정말 많은 돈과 시간을 썼습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느낌도 종종 받습니다. 온갖 병원을 다 다니다가 결국은 한의원에 가게 되는 것처럼, 한약까지 지어 먹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그렇다면 저는 제 우울증을 ‘받아들여야’ 하는 걸까요? 받아들인다면 어떻게 되는 걸까요. 이전에는 의사 선생님 말을 잘 듣고, 괜한 오기를 부리지 않으며 약을 꼬박꼬박 먹는 것이 제 병을 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영원히 서양 제약회사에서 만든 약을 먹으며 살기 싫다면요? 그냥 약을 끊고 ‘정신력으로’ 이겨내기? 그럼 우리 부모 세대의 고루한 정신병 인식으로 다시 돌아갈 뿐이지 않나요.
얼마전 행동하는 성소수자 인권연대와 퀴어 친화적 한의사와 한의대생 모임 홍진단에서주최하는 퀴어 한의학 진료를 받았습니다. 한의신경정신학 전공인 선생님은 저에게 우선 호흡법을 알려 주셨어요. 저는 속으로 웃었습니다. 제 전공은 인도불교철학이거든요. 물론 수업 시간에 요가를 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명상과 호흡은 이미 제 삶의 일부기도 합니다.
그런데도 어쨌든 의료업계 종사자가 호흡법을 알려주는 모습을 지켜보고, “마치 입술 앞에 놓인 촛불을 꺼트리지 않을 정도로 살살” 날숨을 내쉬는 과정을 함께하는 것은 조금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제 체질을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의학의 목표는 체질을 바꿔서 문제의 근본을 치료하는 것이라고. 세상에, 그럼 제가 완치될 수 있다는 말인가요, 선생님? 양의학에서는 저에게 절대 보장해 주지 않던 그 궁극적인 ‘치료’를 이야기하다니, 사람들이 왜 한의원에 혹하는지 알겠더라고요. 버지니아 울프도 허준을 만났다면 더 오래 살지는 않았을까.
그렇게 기대 반, 불신 반의 마음으로 한약을 한 달 넘게 먹고 있습니다. (홍진단의 지원으로 공짜로 받을 수 있었거든요) 정말로 연자육과 당귀 따위가 제 천성을 바꿔줄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이건, ‘치료 이데올로기’와는 다를까요? 오히려 거의 신화화된, 그래서 더 강해진 이데올로기는 아닐까요? 글쎄요. 저도 생각하는 중입니다. 두 달치 약을 다 먹으면 다시 말씀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이번 북토크에 참여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미괴오똑”을 다시 읽었습니다. 주로 제 인터뷰가 나온 파트를요. (^^) 예지의 자살 시도에 대한 내용이라는 건 당연히 늘 알고 있었지만, 다시 읽으니 새롭더군요. 그동안 저는 한강 근처로 이사를 왔고, 가끔 한강을 뛰면서 예지와 또 다른 친구들을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러닝을 하면서 마음을 비운다고들 하던데, 저는 늘 한강에 빠졌던 이들을 생각하게 되어 좀 심란합니다.
다만 북토크에서 이 소식을 전하고 싶었어요. 이번 초여름 영국으로 이민간 예지를 만나고 왔다고요. 일주일동안 예지와 같은 집에서 먹고 자고 또 근처를 산책하며 많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이제 예지는 저에게 ‘자살하려던 친구’같은 것이 아닙니다. 물론 그랬던 적은 예전에도 한 번도 없었지만요. 예지는 ‘자살하려고 마음먹을 정도로 우울증이 심했지만 지금은 그 누구보다 건강하게 잘 사는 친구’입니다. 그건 제 마음에 아주 큰 위안과 안도감을 줍니다. 아, 이건 또 결국 자살은 나쁘고 우울증은 어쨌든 이겨내야 한다는 그런 마음가짐과 이어지는 것일까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예지도 저도, 어떻게든 잘 살아가고 있다는 (물론 잘 살지 못해도 괜찮지만요) 얘기를 그래도 전해 드리고 싶었습니다. 다들 어떻게든 어찌저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