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926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북토크: 우울증과 함께 살기 혹은
우울증과 함께 살기 혹은 저는 스스로를 10년 차가 되어가는 모범적인 우울증 환자라고 소개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모범적인”이라는 부분입니다. 저는 병원에 지각이나 결석을 할지언정 어쨌든 약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나가고, 약도 7일 아침 저녁 해서 14칸이 나눠져있는 약통에 매주마다 잘 소분하여 꾸준히 먹습니다. 상담을 시작한지도 벌써 2년이 넘어가고, 최근에는 글쎼, 정신병을 치료하기 위해 한약까지 먹게 되었습니다. (한의원에도 분과가 있고, 한방신경정신과가 있더라고요) 미나가 “미괴오똑”을 쓰던 당시 저는 제 정신병을, 아니 정신병까지는 아니더라도 이를 치료하기 위해 먹는 약을 꽤 좋아하던 상태였습니다. “내 우울증 너무 좋고 멋져! 간지나!” 이런 느낌은 아니었고요. 다만 옛날 긴 항해를 하던 선원들이 다들 괴혈병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자주 떠올리곤 했습니다. 그건 어떤 바다의 저주같은 것에 의해 걸린 병이 아니라 단순히 비타민 C 부족에 의한 증상이었지요. 그 시대 선원들이 배를 타면 신선한 과일과 야채를 먹을 수 없으니 당연하게 괴혈병에 걸리듯이, 나도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한녀로서 미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걸 치료해주는 정신과 약은 그저 비타민제 같은 것이라고 여겼어요. 잇몸에서 피를 줄줄 흘리지 않게 해줄 수 있는 작은 약. 매일매일, 심지어는 죽을 때까지 먹어도 괜찮지 않나 싶었습니다. 요즘은 조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간단하게는 시간이 더 지나서 병원에 가고 약을 먹는 일에 약간 더 지치기도 했습니다만. 치료나 치유같은 개념에 대해 다시 고려해볼 수 있는 기회들이 있었습니다. 무언가 ‘과학적으로’ ‘잘못된 것’을 ‘바꿔야’ 한다는 개념이 얼마나 해로울 수 있으며 또 자주 틀리는지는 미나에게 자주 들어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근 1-2년간 페미니즘 철학, 몸 철학, 신유물론을 익히거나, 일라이 클레어의 글과 같이, 치료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이야기들을 더 많이 접할 수 있었어요. 정신병 산업 체